한 발짜국
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#3 본문

IT 도서

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#3

발짜국 2021. 6. 11. 23:10

4장 API와 JSON

개발 공부를 하면서 정말 많이 봤던 단어 API랑 JSON. API는 대충 뭔지 느낌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JSON은 이번에 그 의미를 처음 알았다. 참 신기한것은 JSON을 나도 모르게 제이슨이라고 읽고 있었다는 것ㅋㅋ 어떻게 부르는지 궁금해 검색해보니까 맞게 부르고 있었다. 사실 이번 장은 500% 완전히 이해했다고 하기는 힘들다. 사소한 것들이 긴가민가해서 구글 검색하면서 같이 읽었지만 아직도 부족하다. 계속 읽다보면, 앞으로 이것들을 사용하다보면 완전해지겠지!!

 

[간단 요약]

1. API?

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쓰기 위해 중간에 필요한 체계

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

API는 응답을 하는 쪽에서 개발한다.

 

2. CRUD과 RESTful API

CRUD : 데이터를 다룰 때 기준이 되는 4가지 요청 (개발자는 데이터를 볼 때 항상 CRUD의 관점에서)

RESTful API : 조금 더 체계적인 API 사회 운동

모든 회사에서 통용되는 절대규칙이 아닌 사회운동. 상황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사용된다.

RESTful API는 CRUD를 하나의 주소로 관리한다. 또한 요청을 보낼 때 어떤 요청을 보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메소드를 함께 전송한다.

여기서 메소드는 수학에서의 함수와 의미가 같다.

 

C : Create '생성해줘' → POST

R : Read '불러와줘' → GET

U : Update '바꿔줘' → PUT(전체)/PATCH(일부)

D : Delete '지워줘' → DELETE

 

https://meetup.toast.com/posts/92

 

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: NHN Cloud Meetup

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

meetup.toast.com

(RESTful API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보고자 위 포스트를 찾았다.)

 

3. 서버의 응답

성공 → 200번대의 코드

오류 → 400번대의 코드(클라이언트 요청 오류) / 500번대의 코드(서버 오류)

 

HTTP 상태 코드 참고 사이트
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HTTP/Status/301

 

4. JSON형식

클라와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고, 그때 필요한 데이터들을 JSON형식으로 주고 받는다.

{
	키1(Key): 값1(Value),
    키2(Key): 값2(Value),
    키3(Key): [값3, 값4, 값5]
}

 

5. 회사는 Open API로 영향력 증가를 기대하거나 비즈니스 모델로서 사용하는 등, 다양한 이유로 API를 오픈한다.

반응형
Comments